노트코드
노트코드
노트코드

블로그 메뉴

  • 홈
  • 이력서
  • 이전 블로그
  • 글쓰기
  • 관리자페이지
  • 분류 전체보기 (57)
    • 코틀린 (2)
      • 실무 프로젝트로 배우는 Kotlin & Sprin.. (2)
    • JAVA (1)
      • 디자인패턴 (1)
      • 객체지향 5대원칙 (0)
    • SPRING (32)
      • JPA (11)
      • 스프링시큐리티 (1)
      • 스프링 (8)
      • QueryDsl (1)
      • 스프링배치 (11)
    • AZURE (0)
    • ETC (10)
      • MAVEN (0)
      • GIT (0)
      • ReMind (3)
      • Exception (1)
      • CS (6)
    • 책 (8)
      • 이것이 자바다 (8)

최근 글

최근 댓글

태그

  • 스프링
  • JPA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노트코드

노트코드

ETC/CS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반기술] PORT, DNS

2022. 2. 16. 15:24

한번에 둘 이상 연결해야 하면? 

요청이 들어왔을때, 해당 요청이 어느 포트로 도착해야하는지에 대한 정보

즉 같은 IP내에서 프로세스를 구분지어주는 것

(ex 카카오톡 8888포트, 네이버 라인 2233포트 이런식으로 있을때,  해당 요청이 프로그램에 도착해야하는지를

구분 지어주는것이 포트이다)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위와 같은 요청에 출발지 PORT와 목적지 PORT가 위에 해당 하는 내용이다.

 

PORT

  • 0~65535: 할당이 가능
  • 0~1023: 잘 알려진 포트,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음(이미 시스템이 사용하고 있는 포트가 대부분)
    • FTP - 20,21
    • TELENT - 23
    • HTTP  - 80
    • HTTPS - 443

 

DNS (도메인 네임 서버)

IP주소는 언제든지 바뀔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도메인을 사용함

만약 IP주소가 바뀌더라도 도메인 이름은 변경되지 않는다.

  1. 인터넷에 google.com이라고 타이핑을 치면, DNS서버에서 해당 이름의 IP주소를 찾는다
  2. 클라이언트는 해당 IP주소로 요청을 보내게 됨

 

'ETC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반기술] HTTP 상태코드  (0) 2022.03.14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반기술] HTTP API  (0) 2022.02.28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반기술] HTTP 기본  (0) 2022.02.28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반기술] URI  (0) 2022.02.16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반기술] IP, TCP, UPD  (0) 2022.02.16
    'ETC/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반기술] HTTP API
    •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반기술] HTTP 기본
    •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반기술] URI
    •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반기술] IP, TCP, UPD
    노트코드
    노트코드
    노션 블로그에서 티스토리로 이전공사중

    티스토리툴바